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5과목 심리상담
81. 다음 중 옳은 설명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A. 약물 오용 : 의도적으로 약물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B. 약물 의존 : 약물이 없이는 지낼 수 없어 계속 약물을 찾는 상태를 말한다.
C. 약물 남용 : 약물을 적절한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고 잘못 사용하는 것이다.
D. 약물 중독 : 약물로 인해 신체건강에 여러 부작용을 나타내는 상태를 말한다.
① A, B
② B, D
③ C, D
④ A, D
정답 : ②
82. 정신분석적 상담기법이 아닌 것은?
① 공감적 경청
② 자유연상
③ 꿈의 해석
④ 전이의 해석
정답 : ①
83. 진로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일반적인 지도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A. 진로탐색단계 B. 진로인식단계 C. 진로준비단계 D. 취업
① A-B-C-D
② B-A-C-D
③ B-C-A-D
④ A-C-B-D
정답 : ②
84. 가족 구성원을 상실한 가족에게 나타나는 비애반응의 단계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A. 신체적 고통 단계
B. 죄책감 단계
C. 적의반응 단계
D. 일상적 행동 곤란단계
E. 죽은 사람과의 기억에 휩싸이는 단계
① A→E→B→C→D
② A→B→C→D→E
③ E→A→C→B→D
④ E→B→A→C→D
정답 : ①
85. 다음 대화에서 상담자의 반응은?
내담자 : (흐느끼며) 네, 의지할 사람이 아무도 없어요...
상담자 : (부드러운 목소리로) 외롭군요...
① 해석
② 재진술
③ 요약
④ 반영
정답 : ④
86.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치료 기법은?
- 초기에는 비지시적 상담으로 지칭되었으며 세분화된 기법을 강조하지 않는 치료법이다.
- 이 방법을 사용하는 치료자는 대개 전통적인 전문가 역할을 취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내담자 자신이 스스로를 탐색/변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① 대상관계치료
② 정신역동적 치료
③ 내담자 중심치료
④ 게슈탈트 치료
정답 : ③
87. Ellis의 합리적-정서행동 치료(REBT)에서 심리적 장애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가정하는 주된 요인은?
① 비합리적 신념
② 왜곡된 자기개념
③ 실재하는 선행사건
④ 아동기의 외상적 경험
정답 : ①
88. 정신분석에서 내담자가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자신이 이해하고 통찰한 바를 충분히 소화하는 과정은?
① 자기화
② 훈습
③ 완전학습
④ 통찰의 소화
정답 : ②
89. 집단상담과 개인상담의 차이로 틀린 것은?
① 개인상담에 비해서 집단상담은 남을 대하는 바람직한 태도나 행동반응을 즉각적으로 시도해보고 확인할 수 있으며 남들과의 친밀감에 관한 경험을 가질 수 있다.
② 집단상담에서는 개인상담과는 달리 상담자뿐만이 아닌 다른 참여자들로부터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③ 집단상담에서의 상담자의 역할은 다른 참여자들의 역할로 인해 줄어든다.
④ 집단상담에서는 개인상담과는 달리 도움을 받기만 하는 입장이 아닌 다른 참여자들에게 도움을 주는 경험을 가질 수 있다.
정답 : ③
90. 행동주의적 상담의 행동수정 기법에 해당하는 것은?
① 자유연상
② 자기주장훈련
③ 반영적 경청
④ 해석
정답 : ②
91. 최근 실직한 남성 내담자가 재취업을 희망하는 직업 분야에서 요구하는 특정한 훈련이나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성공가능성을 예측하는데 가장 적합한 검사는?
① 직업적성검사
② 직업흥미검사
③ 직업성숙도검사
④ 직업가치관검사
정답 : ①
92. 행동주의 상담의 한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상담과정에서 감정과 정서의 역할을 강조하지 않는다.
② 내담자의 문제에 대한 통찰이나 심오한 이해가 불가능하다.
③ 고차원적 기능과 창조성, 자율성을 무시한다.
④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를 중시하여 기술을 지나치게 강조한다.
정답 : ④
93. 집담상담을 준비할 때 상담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상담의 목적에 따라 내담자의 성, 연령, 배경 등을 고려해야 한다.
② 집단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15-20명 정도가 적합하다.
③ 모임의 빈도는 일주일에 한 번 혹은 두 번 정도 만나는 것이 좋다.
④ 집단상담을 하는 장소는 너무 크지 않고 외부로부터 방해받지 말아야 한다.
정답 : ②
94. 성관련 상담에서 상담자의 태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내담자가 성에 대한 기본지식을 갖고 있다고 전제한다.
② 성문제가 상담자의 영역을 넘어설 때 다른 성문제 전문가에게 의뢰한다.
③ 내담자가 성문제를 왜곡하고 꺼려하는 느낌일 때는 적절히 회피한다.
④ 상담자의 기본적인 성지식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정답 : ②
95. Ellis의 ABCDE 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A - 문제 장면에 대한 내담자의 신념
② B - 선행사건
③ C - 정서적 행동적 결과
④ D - 새로운 감정과 행동
정답 : ②
96. 내담자 중심 상담이론에서 상담관계 형성을 위해 제안한 3가지 주요한 원리가 아닌 것은?
① 무의식적 해석
②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
③ 공감적 이해
④ 진실성
정답 : ①
97. 다음에서 상담자가 소홀히 하고 있는 것은?
내담자가 심리 상담실에 찾아와서 자신이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예를 들면, 무슨 말을 해야 하는지, 휴대폰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오늘은 언제까지 심리상담이 진행되는 것인지 등)를 모르고 불안해한다.
① 수용
② 해석
③ 구조화
④ 경청
정답 : ③
98. 집단상담의 유형이 아닌 것은?
① 지도집단
② 치료집단
③ 자조집단
④ 전문집단
정답 : ④
99. 상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상담은 상담자가 해결방법을 제시하고 내담자가 이에 따르게 하는 것이다.
② 상담은 내담자의 내적 자원이 충분히 활용될 수 있도록 상담자가 안내하는 일이다.
③ 상담은 문제를 분석하여 상담자가 정확한 처방을 내리는 일이다.
④ 상담은 정보의 제공을 주로 하는 조력활동이다.
정답 : ②
100. 청소년 상담에서 특히 고려해야 할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일반적인 청소년의 발달과정에 대한 규준적 정보
② 한 개인의 발달단계와 과업수행 정도
③ 내담자 개인의 영역별 발달수준
④ 내담자의 이전 상담경력과 관련된 사항
정답 : ④
'심리치료사가 들려주는 이야기 > 임상심리사2급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0308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3과목 심리검사 (0) | 2023.01.27 |
---|---|
20150308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4과목 임상심리학 (0) | 2023.01.26 |
20220305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5과목 심리상담 (0) | 2023.01.24 |
20220305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4과목 임상심리학 (0) | 2023.01.24 |
20220305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3과목 심리검사 (0) | 2023.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