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치료사가 들려주는 이야기/임상심리사2급 기출문제

20150816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2과목 이상심리학

by 달의주인 2023. 1. 28.
반응형

2과목 이상심리학

21. DSM-5에서 섬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섬망은 단기간에 발생하는 의식장애와 인지변화가 특징이다.

핵심증상은 주의 장해와 각성 저하이다.

일반적으로 일련의 증상이 급격하게 갑자기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물질 사용이나 신체적 질병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더보기

정답 :

 

22. 다음은 DSM-5에서 어떤 진단기준의 일부인가?

-필요한 것에 비해서 음식섭취를 제한함으로써 나이, 성별, 발달수준과 신체건강에 비추어 현저한 저체중 상태를 초래한다.

-심각한 저체중임에도 불구하고 체중증가와 비만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을 지니거나 체중 증가를 방해하는 지속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체중과 체형을 왜곡하여 인식하고, 체중과 체형이 자기평가에 지나친 영향을 미치거나 현재 나타내고 있는 체중미달의 심각함을 지속적으로 부정한다.

신경성 폭식증

신경성 식욕부진증

폭식장애

이식증

 

더보기

정답 :

 

23. 조현병의 음성 증상에 해당하는 것은?

정서적 둔마

망상

환각

의존성

 

더보기

정답 :

 

24. 공황장애의 치료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심리교육적 가족치료

인지행동 치료

공황통제치료

 

더보기

정답 :

 

25. 뇌에서 발견되는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의 존재와 가장 관련이 있는 장애는?

파킨슨 질환

주요 우울장애

정신분열증

알츠하이머 질환

 

더보기

정답 :

 

26. 특정 학습장애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학습장애 아동은 정상적인 지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에 어려움을 보인다.

학습장애 중에서 읽기장애가 가장 흔하다.

학습장애 아동들은 품행장애, ADHD, 우울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학습장애 아동은 뇌손상이 없고 인지적 정보처리과정도 정상적이다.

 

더보기

정답 :

 

27. 스트레스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코티솔(cortisol)이 분비되는 곳은?

부신

대뇌피질

변연계

해마

 

더보기

정답 :

 

28. DSM-5에서 다음에 해당하는 지적발달장애(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order) 수준은?

IQ점수가 70 보다 낮은 사람들 중 약 85%가 해당한다. 이들은 학교에 입학할 때까지는 정상아동과 반드시 구분되지는 않는다. 10대 후반이 되면 통상적으로 6학년 수준의 학업능력을 학습할 수 있다. 성인이 되면 사회적, 경제적인 문제가 있어서 도움이 필요하고, 숙련을 요하지 않는 작업장이나 보호받는 작업장에서는 자활할 수 있으며, 결혼을 해서 아이를 낳아 기를 수 있다.

가벼운 정도(Mild)

중간 정도(Moderate)

심한 정도(Severe)

아주 심한 정도(Profound)

 

더보기

정답 :

 

29.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부모의 적대감과 학대

변덕스럽고 충동적인 부모의 양육태도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Serotonin)의 부족

붕괴된 자아와 강한 도덕성 발달

 

더보기

정답 :

 

30. 반복적으로 통제 상실에 대한 강렬한 불안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불안장애는?

공황장애

범불안장애

공포증

급성스트레스장애

 

더보기

정답 :

 

31. 다음 사례에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은?

A씨는 자주 불안하다는 생각을 하곤 했으며, 가족들과 다투고 나면 온 몸이 쑤시곤 했다. 어느 날 방안에 누워있는데 천장에 걸려있는 전등이 자신에게 떨어지면 큰일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실제로 전등이 자신의 배위로 떨어진다는 상상을 했다. 그런데 웬일인지 배 밑의 신체부분에 감각을 잃게 되었고 움직일 수 없었다. 병원을 찾았으나 신체적 원인을 발견하지 못했다.

건강염려증

전환장애

신체화장애

신체변형장애

 

더보기

정답 :

 

32. 조현병을 설명하는 소인-스트레스이론(diathesis-stress theor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소인이 스트레스를 야기한다.

스트레스가 소인을 변화시킨다.

소인과 스트레스는 서로 억제한다.

소인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발현된다.

 

더보기

정답 :

 

33. 사회불안장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공포스러운 사회적 상황이나 활동상황에 대한 회피, 예기 불안으로 일상생활, 직업 및 사회적 활동에 영향을 받는다.

특정 뱀이나 공원, 동물, 주사 등에 공포스러워 한다.

터널이나 다리에 대해 공포반응이 일어나는 경우이다.

생리학적으로 부교감신경계의 활성 등의 생리적 반응에서 기인한다.

 

더보기

정답 :

 

34. DSM-5의 신경발달장애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장애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의사소통 장애

특정 학습장애

유분증

 

더보기

정답 :

 

35. DSM-5에서 조증삽화의 진단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증상이 아닌 것은?

팽창된 자존심 또는 심하게 과장된 자신감

사고의 단절 또는 주의 산만

평소보다 말이 많아지거나 계속 말을 하게 됨

목표 지향적 활동이나 흥분된 운동성 활동의 증가

 

더보기

정답 :

 

36. DSM-5의 이인성/비현실감 장애 진단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이인증이나 비현실감을 경험하는 동안 중요한 자서전적 정보를 기억하지 못한다.

이인증이나 비현실감을 경험하는 동안 현실검증력은 손상되지 않은 채로 양호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심한 장해를 초래해야 한다.

이인증이나 비현실감이 어떤 물질이나 신체적 질병에 의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더보기

정답 :

 

37. 스스로 독립적인 생활을 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에게 과도하게 의존하거나 보호받으려는 행동을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성격장애는?

분열성 성격장애

의존성 성격장애

자기애성 성격장애

히스테리성 성격장애

 

더보기

정답 :

 

38. Jellinek는 알코올 의존이 단계적으로 발전하는 장애라고 주장하면서 발전과정을 4단계로 구분하였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전조단계(prodromal phase)

전알코올 증상단계(pre-alcoholic phase)

만성단계(chronic phase)

유도단계(alcohol-induced phase)

 

더보기

정답 :

 

39. DSM-5의 노출장애(exhibitionistic disorder)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성도착적 초점은 낯선 사람에게 성기를 노출시키는 것이다.

성기를 노출시켰다는 상상을 하면서 자위행위를 하기도 한다.

보통 18세 이전에 발생하며 40세 이후에는 상태가 완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노출증적 행동을 나타내는 경우에 대개 낯선 사람과 성행위를 하려고 시도한다.

 

더보기

정답 :

 

40. DSM-5에서 주요 우울장애의 핵심 증상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정신운동성 초조나 지체

불면이나 과다수면

죽음에 대한 반복적인 생각

주기적인 활력의 증가와 감소

 

더보기

정답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