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치료사가 들려주는 이야기/임상심리사2급 기출문제

20160821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3과목 심리검사

by 달의주인 2023. 1. 28.
반응형

3과목 심리검사

41. 직업선호도검사(VPT)의 코드유형 중 다음은 어느 유형에 대한 설명인가?

현장에서 몸으로 부대끼는 활동을 좋아한다. 사교적이지 못하며, 대인관계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어려움을 느낀다.

 현실형(R)

탐구형(I)

관습형(C)

진취형(E)

 

더보기

정답 :

 

42. 아동을 대상으로 집-나무-사람 그림검사를 실시할 때 그 실시 방법으로 옳은 것은?

아동의 보호자가 옆에서 지켜보면서 격려하도록 한다.

 , 나무, 사람은 각각 별도의 용지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그림을 그린 다음에는 수정하지 못하게 한다.

그림이 완성된 후 보호자에게 사후 질문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보기

정답 :

 

43. MMPI-2 코드 쌍의 해석적 의미로 틀린 것은?

4-9 : 행동화적 경향이 높다.

1-2 : 다양한 신체적 증상에 대한 호소와 염려를 보인다.

 2-6 : 전환증상을 나타낼 경우가 많다.

3-8 : 사고가 본질적으로 망상적일 수 있다.

 

더보기

정답 :

 

44. 표준점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대표적인 표준점수로는 Z점수가 있다.

표준점수는 원점수를 직선변환하여 얻는다.

웩슬러지능검사의 IQ 수지도 일종의 표준점수이다.

 Z점수가 0점이라는 것은, 그 사례가 해당 집단의 평균치보다 1표준편차 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보기

정답 :

 

45. 전두엽의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을 평가하기 위한 신경심리 검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위스컨신 카드분류검사(WCST)

하노이탑 검사(Tower of Hanoi test)

 보스턴 이름대기 검사(Boston Naming test)

스트룹 검사(Stroop test)

 

더보기

정답 :

 

46. 초등학교 학생의 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 성취도 검사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독해검사

쓰기검사

산수검사

 지능검사

 

더보기

정답 :

 

47. 진로발달검사(CDI)의 하위척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진로계획(CP)

진로탐색(CE)

의사결정(DM)

 경력개발(CD)

 

더보기

정답 :

 

48. MMPI-2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수검자의 검사태도 및 프로파일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검사 수행에 걸린 시간

무응답의 개수

F척도의 상승도

 6번 척도의 변화폭

 

더보기

정답 :

 

49. 표준화 검사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검사 실시의 절차가 엄격히 통제된다.

모든 표준화 검사는 규준을 갖고 있다.

 반응의 자유도를 최대한으로 넓힌다.

두 가지 이상의 동등형을 만들어 활용한다.

 

더보기

정답 :

 

50. 지능검사를 집단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전산화 심리검사로 개발되어 사용될 수 있다.

검사실시자의 훈련이 쉽다.

 개인의 특수한 행동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기 쉽다.

수검자의 일시적인 상태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다.

 

더보기

정답 :

 

51. MMPI-2의 타당성 척도에 대한 해석으로 틀린 것은?

무반응(?) 점수가 100 이상일 때는 채점에서 제외시킨다.

방어성 척도 중 L 점수가 높으면 사소한 결점이나 약점을 인정하는 태도를 보인다.

 비전형 척도 중 F 점수는 보통사람들과는 다른 생각(, 정신병을 가진 사람), 이상한 태도, 이상한 경험을 가진 사람에게서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방어성 척도 중 K 점수가 낮으면 방어적 태도가 낮아져 과도하게 솔직하고 자기 비판적 임을 나타낸다.

 

더보기

정답 : , (문제 오류로 확정답안 발표시 2, 3번이 정답 처리)

 

52. 아동의 지적 발달이 또래 집단에 비해 지체되어 있는지, 혹은 앞서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Stern이 사용한 IQ산출계산방식은?

 지능지수(IQ) = [정신연령/신체연령] × 100

지능지수(IQ) = [정신연령/신체연령] + 100

지능지수(IQ) = [신체연령/정신연령] × 100

지능지수(IQ) = [신체연령/정신연령] ÷ 100

 

더보기

정답 :

 

53. 웩슬러지능검사로 평가할 수 있는 지능의 영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추상적 사고능력

 예술적 능력

공간적 추론능력

주의집중력

 

더보기

정답 :

 

54. 지능의 측정 영역 중 일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가장 크게 저하되는 것은?

귀납적 추리 능력

공간위치파악능력

 수리능력, 지각속도

언어능력, 언어기억

 

더보기

정답 :

 

55. BGT검사 실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카드는 보이지 않게 엎어두고 도형 A부터 도형 8까지 차례로 제시한다.

 카드에 제시된 도형 크기가 같게 그리게 한다.

모사용지는 수검자가 원하는 만큼 사용하게 한다.

수검자의 검사태도, 검사 행동을 잘 관찰한다.

 

더보기

정답 :

 

56. 심리검사를 위한 면담에서 임상심리사가 유의해야 할 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수검자의 부적응 행동의 과거력을 잘 물어봐야 한다.

 면담은 되도록 간단하게 진행해서 빨리 끝내야 한다.

평가 목적(의뢰 사유)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대한 답을 찾도록 해야 한다.

수검자와 의사소통 관계(라포)를 잘 형성한 후 물어보아야 한다.

 

더보기

정답 :

 

57. MMPI-2의 각 척도에 대한 해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번 척도는 다양하고 모호한 신체적 임상 증상과 연관성이 높다.

2번 척도는 반응성 우울증 보다는 내인성 우울증과 관련이 높다.

4번 척도의 상승 시 심리치료 동기가 높고 치료의 예후가 좋음을 나타낸다.

7번 척도는 불안 가운데 상태불안 증상과 연관성이 높다.

 

더보기

정답 :

 

58. 뇌기능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국재화(localization)는 어떤 인지기술이 뇌의 특정 영역에 자리잡고 있다는 것이다.

등력성주의(equipotentialism)는 뇌영역이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주장한다.

뇌 손상 후에 나타나는 부분적인 기능회복은 등력성의 지지증거이다.

 뇌 손상 후에 나타나는 부분적인 기능회복은 국재화의 지지증거이다.

 

더보기

정답 :

 

59. 심리검사의 제작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평균이 지나치게 한쪽으로 몰려 있거나 분산이 작은 경우는 정보가가 낮아 좋은 문항이라고 하기 어렵다.

 문항의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개인의 능력을 변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늘어난다.

오답을 정답으로 잘못 선택하는 확률은 각 오답 선택지별로 동질적인 것이 좋다.

검사 점수의 변량이 작으면 검사의 신뢰도나 타당도는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더보기

정답 :

 

60. 아동용 지각-운동통합의 발달검사로, 24개의 기하학적 형태의 도형으로 이루어진 지필검사는?

 VMI

BGT

CPT

CBCL

 

더보기

정답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