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과목 이상심리학
21. 항정신병 약물 부작용으로서 나타나는 혀, 얼굴, 입, 턱의 불수의적 움직임 증상은?
① 무동증(akinesia)
② 만발성 운동장애(tardive dyskinesia)
③ 추체외로 증상(extrapyramidal symptoms)
④ 구역질(nausea)
정답 : ②
22. 다음의 특징을 보이는 장애는?
비사교적이며 대인관계에 무관심하고 정서적으로 냉담하며 외부자극에 잘 반응하지 않고 과도한 백일몽이나 자기만의 환상을 가짐
① 조현성 성격장애(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② 연극성 성격장애(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③ 편집성 성격장애(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④ 조현형 성격장애(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정답 : ①
23. 우울증의 원인이 되는 우울 유발적 귀인(depressogenic attribution)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성공을 외부적, 안정적, 특수적 요인에 귀인한다.
② 성공을 내부적, 안정적, 특수적 요인에 귀인한다.
③ 실패를 외부적, 안정적, 특수적 요인에 귀인한다.
④ 실패를 내부적, 안정적, 전반적 요인에 귀인한다.
정답 : ④
24. 순환성 장애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청소년기나 초기 성인기에 시작된다.
② 남녀 간의 유병률에 큰 차이가 없다고 보고된다.
③ 양극성 장애보다 경미한 증상이 2년 이상 지속된다.
④ 양극성 장애로는 발전하지 않는다.
정답 : ④
25. 이상행동 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인지 모델: 잘못된 사고 과정의 결과이다.
② 행동주의 모델: 자기실현을 하는데 있어서 오는 어려움에서 생긴다.
③ 인본주의 모델: 무의식적 내적 갈등의 상징적 표현이다.
④ 사회문화 모델: 정상행동과 같이 학습의 결과로 습득된다.
정답 : ①
26. 환각제에 해당되는 약물은?
① 펜시클리딘
② 대마
③ 카페인
④ 오피오이드
정답 : ①
27. 강박장애의 특징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자신의 행동이 비합리적임을 알지만 강박행동을 멈추지 못한다.
ㄴ. 강박행동을 수행한 후에 대개는 잠시 동안 불안을 덜 느낀다.
ㄷ. 일부 강박행동은 의례행동(ritual behavior)으로 발전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ㄱ, ㄴ, ㄷ
정답 : ④
28. 정신장애 개입의 최근 동향으로 틀린 것은?
① 탈시설화(deinstitutionalization)의 감소
② 향정신성 약물의 발전
③ 심리치료 서비스 이용의 증가
④ 정신건강에 대한 예방적 접근의 강조
정답 : ①
29. 대형 화재현장에서 살아남은 남성이 불이 나는 장면에 극심하게 불안증상을 느낄 때 의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높은 장애는?
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② 적응장애
③ 조현병
④ 범불안장애
정답 : ①
30. 적대적 반항장애(oppositional defiant disorder)의 진단기준에 해당되는 행동은?
① 자신도 모르게 일정한 몸짓을 하며 때로는 괴상한 소리를 내기도 한다.
② 엄마와 떨어지는 것에 대한 불안으로 학교가기를 거부한다.
③ 사회적으로 정해진 규칙을 위반하거나 타인의 권리를 침해한다.
④ 어른들과 논쟁을 하고 쉽게 화를 낸다.
정답 : ④
31. 우울증과 관련하여 Beck이 제시한 인지삼제는?
① 자신, 세계 및 미래에 대한 비관적 견해
② 자신, 과거 및 환경에 대한 비관적 견해
③ 자신, 과거 및 미래에 대한 비관적 견해
④ 자신, 미래 및 관계에 대한 비관적 견해
정답 : ①
32. 자폐스펙트럼 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의사소통의 장해가 현저하고 지속적이다.
② 상상적인 놀이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③ 사회적 관습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④ 연령증가와 함께 증상의 호전을 보인다.
정답 : ④
33. 알츠하이머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현저한 인지기능 장애가 특징이다.
② 도파민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③ 연령의 증가와 함께 유병률이 높아진다.
④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질병이다.
정답 : ②
34. 조현성 성격장애와 조현형 성격장애의 공통점을 짝지은 것은?
ㄱ. 의심이나 편집증적 사고
ㄴ. 정체성 문제
ㄷ. 제한된 정서 및 감정
ㄹ. 사회적 고립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ㄴ, ㄹ
정답 : ③
35. 다음 사례에 가장 적절한 진단명은?
A는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직원이다. 오늘은 동료직원 B가 새로운 상품에 대해서 발표하기로 했는데 결근을 해서 A가 대신 발표하게 되었다. 평소 A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발표에 대해 나쁘게 평가할 것 같아 다른 사람 앞에서 발표하기를 피해왔다. 발표시간이 다가오자 온 몸에 땀이 쏟아지고 숨 쉬기가 어려워졌으며, 곧 정신을 잃고 쓰러질 것 같이 느껴졌다.
① 범불안장애
② 공황장애
③ 강박장애
④ 사회불안장애
정답 : ④
36. DSM-5에서 제시한 폭식 삽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음식섭취에 대한 통제의 상실
② 주관적으로 많다고 느껴지는 음식섭취
③ 3시간 이상 지속적 음식섭취
④ 부적절한 보상행동(purging)의 사용
정답 : ①
37. 다음에 해당하는 장애는?
- 경험하는 성별과 자신의 성별 간 심각한 불일치
- 자신의 성적 특성을 제거하고자 하는 강한 욕구
- 다른 성별 구성원이 되고자 하는 강한 욕구
① 성도착증
② 동성애
③ 성기능장애
④ 성별불쾌감
정답 : ④
38. DSM-5에서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병적 도벽, 반사회성 성격장애 등의 하위유형이 있다、
② 자신이나 타인을 해하려는 충동, 욕구, 유혹에 저항하지 못한다.
③ 충동적 행동을 하기 전까지 긴장감이나 각성상태가 고조된다.
④ 충동적인 행동을 할 때마다 불쾌감이나 죄책감을 경험하게 된다.
정답 : ④
39. 다음의 사례에 가장 적합한 진단명은?
24세의 한 대학원생은 자신이 꿈속에 사는 듯 느껴졌고, 자기 신체와 생각이 자기 것이
아닌 듯 느껴졌다. 자신의 몸 일부는 왜곡되어 보였고, 주변 사람들이 로봇처럼 느껴졌다.
① 해리성 정체성 장애
② 해리성 둔주
③ 이인화/비현실감 장애
④ 착란장애
정답 : ③
40. 치매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기억손실이 없다.
② 약물남용의 가능성이 많다.
③ 증상은 오전에 가장 심해진다.
④ 자신의 무능을 최소화하거나 자각하지 못한다.
정답 : ④
'심리치료사가 들려주는 이야기 > 임상심리사2급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0826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5과목 심리상담 (0) | 2023.02.01 |
---|---|
20170305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1과목 심리학개론 (0) | 2023.01.31 |
20170305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3과목 심리검사 (0) | 2023.01.30 |
20170305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4과목 임상심리학 (0) | 2023.01.30 |
20170305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5과목 심리상담 (0) | 2023.01.29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