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치료사가 들려주는 이야기/임상심리사2급 기출문제

20170305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3과목 심리검사

by 달의주인 2023. 1. 30.
반응형

3과목 심리검사

41. 80세 이상의 노인집단용 규준이 마련되어 있는 심리검사는?

K-WAIS

K-WAIS-IV

 K-Vineland-II

SMS(Social Maturity Scale)

 

더보기

정답 :

 

42. MMPI에서 2, 7 척도가 상승한 패턴을 가진 피검자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행동화(acting-out) 성향이 강하다.

정신치료에 대한 동기는 높은 편이다.

자기 비판 혹은 자기 처벌적인 성향이 강하다.

불안, 긴장, 과민성 등 정서적 불안 상태에 놓여 있다.

 

더보기

정답 :

 

43. 신경심리검사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은 것은?

뇌손상은 단일한 행동지표를 나타낸다.

정상인과 노인의 기능평가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피검자의 인구통계학적 및 심리사회적 배경에 따라 반응이 달라진다.

신경심리평가에서는 전통적인 지적 기능평가와 성격평가는 필요하지 않다.

 

더보기

정답 :

 

44. 다음 중 심리평가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정보는?

면담

 직업관

심리검사

행동관찰

 

더보기

정답 :

 

45. MMPI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수검자에 대한 행동평가가 가능하다.

수검자의 방어기제를 잘 알 수 있다.

결과에 대한 정신역동적 해석이 가능하다.

수검자의 성격 전반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다.

 

더보기

정답 :

 

46. 다음 환자는 뇌의 어떤 부위가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높은가?

30세 남성이 운전 중 중앙선을 침범한 차량과 충돌하여 두뇌 손상을 입었다. 이후 환자는 매사 의욕이 없고, 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어떤 행동을 시작하려고 하지 않으며, 계획을 세우거나 실천하는 것이 거의 안 된다고 한다.

측두엽

후두엽

 전두엽

두정엽

 

더보기

정답 :

 

47. MMPI-2에서 타당성을 고려 할 때 ‘?’ 지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각 척도별 ‘?’ 반응의 비율을 확인해 보는 것은 유용할 수 있다.

 ‘?’ 반응이 300 번 이내의 문항에서만 발견되었다면 L, F, K 척도는 표준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 반응이 3 개 미만인 경우에도 해당 문항에 대한 재반응을 요청하는 등의 사전검토 작업이 필요하다.

‘?’ 반응은 수검자가 질문에 대해 답변을 하지 않을 경우뿐만 아니라 그렇다아니다에 모두 응답했을 경우에도 해당된다.

 

더보기

정답 :

 

48. 지능검사를 실시할 때 검사자의 태도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표준화된 실시 지침을 지켜야 한다.

검사의 실시 방법과 정답을 숙지하여야 한다.

피검자가 최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분위기에서 실시한다.

 객관적 해석을 위해서는 피검자의 배경정보를 고려하지 않는다.

 

더보기

정답 :

 

49. 특정 학업과정이나 직업에 대한 앞으로의 수행능력이나 적응을 예측하는 검사는?

 적성검사

지능검사

성격검사

능력검사

 

더보기

정답 :

 

50. 좌반구 측두엽 부위의 손상을 당한 환자가 신경심리평가과제에서 보일 수 있는 특징이 아닌 것은?

명명과제(naming test)에서의 수행 저하

언어기억과제(verbal memory test)에서의 수행 저하

 -공간적 지남력의 저하

단어유창성과제(word fluency test)에서의 수행 저하

 

더보기

정답 :

 

51. 측정영역이 서로 다른 검사로 짝지어진 것은?

주의력 검사 - 연속수행과제

코너스 평정척도 - 주의력 검사

연속수행과제 - 코너스 평정척도

 낯선 상황 검사 - 코너스 평정척도

 

더보기

정답 :

 

52. 웩슬러 지능검사의 소검사 중에서 일반 지능 또는 발병 전 지능을 추정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소검사는?

상식

어휘

 숫자

토막짜기

 

더보기

정답 :

 

53. MMPI-2에서 89/98 상승척도 쌍을 보이는 사람들의 특징이 아닌 것은?

과잉활동적이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하다.

 사회적인 기준이나 가치를 지나치게 무시하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사람들을 이용하는 경향이 있다.

다른 사람들에게 다소 자기중심적이고 유아적인 기대를 한다.

성취 욕구가 강하고 성취에 대한 압박감을 느끼지만, 그들의 실제 수행은 기껏해야 평범한 수준인 경우가 많다.

 

더보기

정답 :

 

54. 지능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최초의 편차지능을 이용한 지능검사는 Spearman이 만들었다.

정신검사(mental test)란 용어를 심리학에 도입한 학자는 Binet이다.

 지능검사는 피검사자의 정신병리를 파악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지능검사들은 대부분 문화적 영향이 적절히 배제되어 있다.

 

더보기

정답 :

 

55. 16PF(성격요인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상반된 의미의 형용사를 요인분석하여 만든 검사이다.

Cattell에 따르면 임상증상은 표면특성이고 그 배후에는 다양한 근원특성이 있다.

MMPI와는 달리 정신질환자가 아닌 정상인의 성격을 측정하기 위해 만든 검사이다.

 CattellEber가 고안한 검사로 성인은 물론 학령기를 시작하는 6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더보기

정답 :

 

56. 지능은 우수하지만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가 있어 학업부진을 보이는 아동이나 청소년들이 다른 소검사에 비해 높은 점수를 얻기 어려운 소검사는?

어휘

이해

 숫자

토막짜기

 

더보기

정답 :

 

57. 심리평가와 관련된 윤리로 보기 어려운 것은?

가능하면 최근에 제작된 검사를 사용해야 한다.

심리검사를 구매하는 데도 일정한 자격이 필요하다.

 수검자 외의 어떠한 사람에게도 검사 결과를 알려서는 안 된다.

검사 결과는 수검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명해야 한다.

 

더보기

정답 :

 

58. Bayley 발달척도(BSID-II)를 구성하는 하위 척도가 아닌 것은?

운동척도(motor scale)

정신척도(mental scale)

 사회성척도(social scale)

행동평정척도(behavior rating scale)

 

더보기

정답 :

 

59. 검사 점수들의 분포 특성을 요약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사례수(N)

평균치(mean)

중앙치(median)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더보기

정답 :

 

60. 동일한 사람에게 첫 번째 시행한 검사와 측정 영역, 문항 수, 난이도가 같은 검사로 두 번째 검사를 실시해서 두 검사점수 간의 상관으로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은?

반분 신뢰도

내적 합치도

 동형검사 신뢰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더보기

정답 :

 
 
 
 
반응형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