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과목 임상심리학
61. 인지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개인의 문제는 잘못된 전제나 가정에 바탕을 둔 현실 왜곡에서 비롯된다.
② 개인이 지닌 왜곡된 인지는 학습 상의 결함에 근거를 둔다.
③ 부정적인 자기개념에서 비롯된 자동적 사고들은 대부분 합리적인 사고들이다.
④ 치료자는 왜곡된 사고를 풀어 주고 보다 현실적인 방식들을 학습하도록 도와준다.
정답 : ③
62. 치료자가 치료 초기에 rapport를 형성하기 위한 행동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① 내담자를 가능한 한 인간으로 존중하려 했다.
② 너무 심문식으로 질문하지 않으려 했다.
③ 치료시간을 넘기더라도 내담자가 충분히 이야기할 시간을 주었다.
④ 내담자의 긴장을 풀어주기 위해 간단히 안부를 물었다.
정답 : ③
63.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기능에서 고차원적 인지 기능으로 발달하는 뇌의 발달 단계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후뇌(교와 소뇌) → 수뇌(연수) → 중뇌 → 간뇌 → 종뇌
② 수뇌(연수) → 후뇌(교와 소뇌) → 중뇌 → 간뇌 → 종뇌
③ 후뇌(교와 소뇌) → 중뇌 → 간뇌 → 종뇌 → 수뇌(연수)
④ 수뇌(연수) → 간뇌 → 후뇌(교와 소뇌) → 중뇌 → 종뇌
정답 : ①
64. 치료관계에서 얻은 내담자의 정보에 대한 비밀 보장의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자해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
② 제3자에게 위해가 가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
③ 감염성 질병이 있는 경우
④ 내담자에게 알리지 않고 내담자의 정보를 책에 인용한 경우
정답 : ④
65. 신경심리학적 기능을 연구하는 방법 중 비침습적인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①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② 국부 대뇌 혈류(rCBF)
③ 심전극(Depth electrode)
④ 전자 뇌 지도(Electrical brain mapping)
정답 : ④
66. 정신상태검사(mental status examination) 면접에서 환자를 통해 평가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① 외모와 태도
② 지남력
③ 정서의 유형과 적절성
④ 가족관계
정답 : ④
67. 행동이 보상을 받아 행동의 빈도가 증가하는 원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칭찬하기
② 금전 제공
③ 관심 철수
④ 토큰 경제
정답 : ③
68. 인간중심치료에서 자기와 경험 간의 일치를 촉진 시키고, 자기실현을 하도록 치료자가 지녀야 할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공감
② 진실성
③ 객관적인 이해
④ 무조건적 긍적적 존중
정답 : ③
69. 암, 당뇨 등과 같은 질병을 진단받은 환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집단개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정신역동적 집단치료
② 가족치료
③ 인본주의적 집단치료
④ 심리교육적 집단치료
정답 : ④
70. 심리평가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심리평가는 심리학자들이 진단을 내리고, 치료를 계획하고, 행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는 과정이다.
② 심리평가의 자료로는 환자에 대한 면접자료, 과거 기록, 행동관찰 사항, 심리검사에 관한 결과 들이 포함된다.
③ 제 1, 2차 세계대전 당시 신병들에 대한 심리평가의 요구는 임상심리학에서 심리평가의 중요성과 심리검사 제작의 필요성을 촉진시켰다.
④ 임상장면에서 심리검사를 실시할 때 자주 사용하는 MMPI, K-WAIS, Rorschach, TAT와 같은 검사들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정답 : ④
71. 환자가 처방한 대로 약을 잘 복용하고, 의사의 치료적 권고를 준수하게 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방법은?
① 준수하지 않을 때 불이익을 준다.
② 의사가 권위적이고 단호하게 지시한다.
③ 모든 책임을 환자에게 위임한다.
④ 치료자가 약의 효과 등에 대해 친절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정답 : ④
72. 알코올중독 환자에게 술을 마시면 구토를 유발하는 약을 투약하여 치료하는 기법은?
① 행동조성
② 혐오치료
③ 자기표현훈련
④ 이완훈련
정답 : ②
73. 임상심리학자가 활동할 수 있는 새로운 영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법정 임상심리학
② 소아과 심리학
③ 행동 의학
④ 인지 심리학
정답 : ④
74. 임상심리학자의 교육수련과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1949년 Boulder회의에서 과학자-전문가 수련모형이 채택되었다.
② 과학자-전문가 모형은 과학적 연구자나 임상적 실무자 중 어느 하나의 역할에 충실할 것을 강조한다.
③ 심리학 박사(Ph.D.)는 과학자-전문가 모형을 따른다.
④ 한국심리학회에서는 자질 있는 임상심리학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임상심리전문가 제도를 두고있다.
정답 : ②
75. 심리치료 과정에서 저항이 일어나는 일반적인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환자가 변화를 원하더라도 환자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타인들이 현 상태를 유지하도록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② 부적응적 행동을 유지함으로써 얻는 이차적 이득을 환자가 포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③ 익숙한 행동을 변화시키려는 시도가 환자에게 위협을 주기 때문이다.
④ 치료자가 가진 가치나 태도가 환자에게 위협적이기 때문이다.
정답 : ④
76. Pennsylvania 대학교에 첫 심리진료소를 개설하고 임상심리학의 탄생에 크게 기여한 학자는?
① William James
② Lightner Witmer
③ Emil Kraepelin
④ Wilhelm Wundt
정답 : ②
77. MMPI-2에서 척도와 그 척도가 측정하는 바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① L:지나치게 긍정적인 자기 보고
② F:자신의 문제들을 인정
③ S:부정적 사고 및 태도 경향성
④ K:자기 방어적 태도
정답 : ③
78. 행동평가의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자연적인 상황에서 실제 발생한 것만을 대상으로 평가한다.
② 행동표본은 내면심리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③ 특정 표적행동의 조작적 정의가 상이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④ 관찰 결과는 요구특성이나 피험자의 반응성 요인과는 무관하다.
정답 : ③
79. 역할시연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행동관찰 방법은?
① 자기-탐지
② 통제된 관찰
③ 자연관찰
④ 비구조화 관찰
정답 : ②
80. 다음 중 유관학습의 가장 적합한 예는?
① 욕설을 하지 않게 하기 위해 욕을 할 때마다 화장실 청소하기
② 손톱 물어뜯기를 줄이기 위해 손톱에 쓴 약을 바르기
③ 충격적 스트레스 사건이 떠오를 때 ‘그만!’이라는 구호 외치기
④ 뱀에 대한 공포가 있는 사람에게 뱀을 만지는 사람의 영상 보여주기
정답 : ①
'심리치료사가 들려주는 이야기 > 임상심리사2급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0826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2과목 이상심리학 (0) | 2023.02.02 |
---|---|
20170826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3과목 심리검사 (0) | 2023.02.02 |
20170826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5과목 심리상담 (0) | 2023.02.01 |
20170305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1과목 심리학개론 (0) | 2023.01.31 |
20170305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2과목 이상심리학 (0) | 2023.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