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치료사가 들려주는 이야기/임상심리사2급 기출문제

20180304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2과목 이상심리학

by 달의주인 2023. 2. 12.
반응형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2과목 이상심리학

21. 발달 정신병리에서 성별, 기질, 부모의 불화, 부모의 죽음이나 이별, 긍정적 학교 경험의부족 등은 어떤 요인에 해당하는가?

보호 요인

통제 요인

탄력성

위험 요인

 

더보기

정답 :

 

22. 허위성 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흔하다.

정확한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외부적 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을 허위로 만들어낸다.

청소년기에 주로 발병된다.

 

더보기

정답 :

 

23. 사고의 비약(flight of ideas) 증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조현병의 망상적 사고

우울증의 자살충동적 사고

조증의 대화할 때 보이는 급격한 주제의 전환

신경인지장애의 지리멸렬한 사고

 

더보기

정답 :

 

24. 다음은 어떤 장애인가?

A군은 두통과 복통을 많이 호소하여 어머니와 함께 최근 소아과 검진을 받았는데, 별 문제가 없다는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A군은 아침에 어머니와 헤어져 학교에 가는 것을 매우 힘들어 하며, 신체적 문제를 핑계로 학교에서 자주 조퇴하였다.

선택적 함구증

반응성 애착장애

분리불안 장애

기분조절불능장애

 

더보기

정답 :

 

25. 인지치료 접근에서 사용하는 개입 방안이 아닌 것은?

협력적 경험주의

소크라테스식 대화법

ABC 사고기록지

정서적 추론

 

더보기

정답 :

 

26. 성격장애의 하위 범주 중 극적이고 변덕스러운 행동을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장애군에 속하는 것은?

회피성 성격장애

강박성 성격장애

의존성 성격장애

경계성 성격장애

 

더보기

정답 :

 

27. 도박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특징이 아닌 것은?

뇌 보상중추에서 도파민 활동성과 작용이 고조된다.

물질사용장애와는 다르게 금단증상과 내성이 없다.

충동적이며 새로운 자극을 추구하는 특성을 가진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괴로울 때 도박을 더 많이 한다.

 

더보기

정답 :

 

28. DSM-5에서 해리성 정체성 장애의 진단적 특징이 아닌 것은?

자기감각과 행위 주체감의 갑작스러운 변화

반복적인 해리성 기억상실

경험성 기억의 퇴보

알코올 등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로 일어나는 경우도 포함

 

더보기

정답 :

 

29. 공황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공황발작은 공황장애의 고유한 증상이다.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2~3배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청소년 후기와 30대 중반에서 가장 많이 발병한다.

대개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치유된다.

 

더보기

정답 :

 

30. 강박 및 관련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강박장애의 가장 흔한 주제는더러움 또는 오염이다.

. 강박장애를 가진 사람들 중 일부는 강박사고만 또는 강박행동만 경험한다.

. 강박 관련 장애로 수집광, 신체이형장애, 피부뜯기 장애가 있다.

① ㄱ,

② ㄱ,

③ ㄴ,

④ ㄱ, ,

 

더보기

정답 :

 

 

31. 외상후스트레스 장애의 대표적인 지역사회 개입접근인 심리경험 사후보고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EMDR보다 효과적이다.

특정 고위험군 환자들에게 효과적이다.

청소년에게만 효과적이다.

전문가에 의해 행해졌을 때만 효과적이라고 보고된다.

 

더보기

정답 :

 

32. 성격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른 정신장애와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다.

현실검증력의 장애가 있다.

고정된 행동양식이 개인 생활과 사회생활 전반에 넓게 퍼져 있다.

대개 청소년기나 성인기 초기에 나타난다.

 

더보기

정답 :

 

33. DSM-5에 새로 생긴 장애는?

의사소통장애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기 발병 유창성장애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더보기

정답 :

 

34. 지속성 우울장애(dysthymia)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청소년의 경우, 증상이 적어도 2년 동안 지속되어야 한다.

하루의 대부분 우울 기분이 있다.

조증 삽화, 경조증 삽화가 없어야 한다.

식욕 부진 또는 과식, 불면 또는 과다수면, 절망감, 자존감 저하 등 2개 이상의 증상을 보인다.

 

더보기

정답 :

 

35. 성적 가학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주로 성적 피학장애를 가진 상대에게 가학적 행동을 보인다.

대부분 시간이 지나도 행동의 심각도에는 큰 변화가 없다.

대부분 초기 성인기에 나타난다.

성가학적 행동의 패턴은 보통 장기적으로 나타난다.

 

더보기

정답 :

 

36. 다음 중 증상이 나타나는 기간이 1개월 이상 6개월 이내인 경우 내리는 진단은?

망상장애

조현정동장애

조현양상장애

단기 정신병적 장애

 

더보기

정답 :

 

37. 신경성 폭식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상행동(purging)은 칼로리를 낮추는데 효과적이지 않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폭식과 보상행동(purging)이 점점 증가한다.

폭식은 시간과 장소, 타인의 유무와 관계없이 발생한다.

청소년기나 성인 초기에 시작된다.

 

더보기

정답 :

 

38. 물질사용장애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내성이 나타난다.

금단증상이 나타난다.

물질사용을 중단하거나 조절하려고 해도 뜻대로 되지 않는다.

 물질사용으로 인한 직업기능의 손상여부는 진단 시 고려하지 않는다.

 

더보기

정답 :

 

39. 범불안장애에서 나타나는 불안의 특징은?

특정 대상에 대한 과도한 불안

발작경험에 대한 예기불안(anticipatory anxiety)

불안의 대상이 분명하지 않은 부동불안(free-floating anxiety)

반복적으로 침투하는 특정 사건에 대한 염려

 

더보기

정답 :

 

40. 주요 신경인지장애와 경도 신경인지장애의 감별진단 기준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기억과 학습 감퇴 정도

성격의 변화 정도

언어능력의 감퇴 정도

독립적 생활의 장애 정도

 

더보기

정답 :

반응형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