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치료사가 들려주는 이야기/임상심리사2급 기출문제

20220305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2과목 이상심리학

by 달의주인 2023. 1. 23.
반응형

2과목 이상심리학

21. DSM-5에서 알코올사용장애 진단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증상의 갯수로 알코올사용장애 심각도를 분류한다.

알코올로 인한 법적문제가 진단기준에 포함된다.

교차중독 현상이 진단기준에 포함된다.

음주량과 음주횟수가 진단기준에 포함된다.

 

더보기

정답 :

 

22. 여성의 알코올 중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알코올 중독의 남녀 비율은 비슷한 수준이다.

여성은 유전적으로 남성보다 알코올 중독의 가능성이 더 높다.

여성 알코올 중독자들은 남성 알코올 중독자들보다 우울을 더 많이 경험하고 자살시도 횟수가 더 많다.

여성은 남성보다 체지방이 많기 때문에 술의 효과가 늦게 나타나고 대사가 빠르다.

 

더보기

정답 :

 

23. 지속성 우울장애(기분저하증)의 진단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우울 기간 동안 자존감 저하, 절망감 등의 2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순환성장애의 진단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조종 삽화, 경조증 삽화가 없어야 한다.

청소년에서는 기분이 과민한 상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더보기

정답 :

 

24. 이상심리의 이론적 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양극성 장애와 조현병은 유전을 비롯한 생물학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행동주의자들은 부적응 행동이 학습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다고 제안하였다.

실존주의자들은 정신장애가 뇌의 생화학적 이상에 의해서 유발된다고 본다.

인지이론가들은 비합리적 신념과 역기능적 사고가 이상 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본다.

 

더보기

정답 :

 

25.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순환성장애

조현양상장애

조현정동장애

단기 정신병적 장애

 

더보기

정답 :

 

26. 사회불안장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공포스러운 사회적 상황이나 활동상황에 대한 회피, 예기 불안으로 일상생활, 직업 및 사회적 활동에 영향을 받는다.

특정 뱀이나 공원, 동물, 주사 등에 공포스러워 한다.

터널이나 다리에 대해 공포반응이 일어나는 경우이다.

생리학적으로 부교감신경계의 활성 등의 생리적 반응에서 기인한다.

 

더보기

정답 :

 

27. 신경발달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투렛장애 진단 시 운동성 틱과 음성 틱은 항상 동시에 나타나야 한다.

생의 초기부터 나타나는 유아기 및 아동기장애와 관련이 있다.

비유창성이 청소년기 이후에 시작되면 성인기-발병 유창성 장애로 진단한다.

상동증적 운동장애는 특정 패턴의 행동을 목적 없이 반복하여 부적응적 문제가 초래된다.

 

더보기

정답 :

 

28. Bleuler가 제시한 조현병(정신분열병)4가지 근본증상, 4A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감정의 둔마(affective blunting)

자폐증(autism)

양가감정(ambivalence)

무논리증(alogia)

 

더보기

정답 :

 

29.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학령전기에 보이는 주요 증상은 과잉행동이다.

앉아 있도록 요구되는 상황에서 자리를 떠나는 것은 부주의 증상에 해당된다.

증상이 지속되면 적대적 반항장애로 동반이환할 가능성이 높다.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흔하게 나타난다.

 

더보기

정답 :

 

30. 다음의 사례에 가장 적합한 진단명은?

24세의 한 대학원생은 자신의 꿈속에 사는 듯 느껴졌고, 자기 신체와 생각이 자기 것이 아닌 듯 느껴졌다. 자신의 몸 일부는 왜곡되어 보였고, 주변 사람들이 로봇처럼 느껴졌다.

 

해리성 정체성장애

해리성 둔주

이인화/비현실감 장애

착란장애

 

더보기

정답 :

 

31. 주요 신경인지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인지 기능의 저하 여부는 병전 수행 수준을 기준으로 삼지 않는다.

가족력이나 유전자 검사에서 원인이 되는 유전적 돌연변이의 증거가 있어야 한다.

기억 기능의 저하가 항상 나타난다.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경우는 서서히 시작되고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더보기

정답 :

 

32. 분리불안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행동치료, 놀이치료, 가족치료 등을 통하여 호전될 수 있다.

부모의 양육행동, 아동의 유전적 기질, 인지행동적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친다.

학령기 아동에서는 학교에 가기 싫어가거나 등교 거부로 나타난다.

성인의 경우 증상이 1개월 이상 나타날 때 진단될 수 있다.

 

더보기

정답 :

 

33. B군 성격장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경계성 성격장애

강박성 성격장애

반사회성 성격장애

연극성 성격장애

 

더보기

정답 :

 

34. 다음 장애 중 성기능부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사정지연

발기장애

마찰도착장애

여성극치감장애

 

더보기

정답 :

 

35. 다음 증상들이 나타날 때 적절한 진단명은?

- 의학적 상태, 물질 중독이나 금단, 치료약물의 사용 등으로 일어난다는 증거가 있다.
- 주의를 집중하는 것이 어렵고, 이해할 수 없는 말을 중얼거린다.
- 방향 감각이 없고 자신의 이름을 말하지 못한다.
- 위의 증상들이 갑자기 나타나고, 몇 시간이나 몇 일간 지속되다가 그 원인을 제거하면 회복되는 경우가 많다.

 

섬망

경도신경인지장애

주요신경인지장애

해리성 정체성장애

 

더보기

정답 :

 

36. 전환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전환장애 진단을 위해서는 증상이 신경학적 질병으로 설명되지 않아야 한다.

전환증상은 다양하지만 특히 흔한 것은 보이지 않음, 들리지 않음, 마비, 무감각증 등이다.

전환증상은 의학적 증거로 설명되지는 않고 있으며 환자들이 일시적인 어려움을 피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꾸며낸 것이다.

전환증상은 내적 갈등의 자각을 차단하는 일차 이득이 있고, 책임감으로부터 구제해주고 동정과 관심을 끌어내는 이차 이득이 있다.

 

더보기

정답 :

 

37. 변태성욕장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관음장애

소아성애장애

노출장애

성별 불쾌감

 

더보기

정답 :

 

38. 대인관계의 자아상 및 정동의 불안정성, 심한 충동성을 보이는 광범위한 행동 양상으로 인해 사회적 부적응이 초래되는 성격장애는?

의존성 성격장애

경계선 성격장애

편집성 성격장애

연극성 성격장애

 

더보기

정답 :

 

39. 조현병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중 1개 증상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양성 증상은 음성 증상보다 더 만성적으로 나타난다.

2개 이상의 영역에서 기능이 저하되어야 진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병 연령의 성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다.

 

더보기

정답 :

 

40. 주요 우울장애에 동반되는 세부 뷰형(양상)이 아닌 것은?

혼재상 양산 동반

멜랑콜리아 양산 동반

급속 순환성 양산 동반

비전형적 양산 동반

 

더보기

정답 :

반응형

댓글